검색결과 제한

제목

도서정보

기후재원과 산림 -기초편-
  • 자료유형

    연구자료

  • 서명

    기후재원과 산림 -기초편-

  • 저자

    최은호 양현영

  • 개인저자

    최은호
    양현영

  • 발행사항

   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25

  • 형태사항

    93 p. 삽도 21cm

  • 총서사항

    연구자료 제1157호

  • ISBN

    9791160199536

  • 청구기호

    634.9072 최67기 제1157호

원문

번호 제목
1 연구자료 1157호_기후재원과 산림_ 기초편.pdf

소장정보

소장정보 - 등록번호 ,소장처 ,청구기호 ,자료상태 ,반납예정일 ,예약
소장처 청구기호 자료상태  
기본서고  634.9072 최67기 제1157호 대출가능 더보기

관련정보

목차

요약_07
1. 기후재원과 그 조성 과정_13
2. 기후재원의 규모와 흐름_19
3. 기후재원의 구조와 기후기금_47
4. 전 세계 기후재원의 한계와 미래_67
5. 맺음말_77
부록_83
참고문헌_90

표 목차
[표 1] 기후재원의 분류_48
[표 2] UNFCCC 내·외 재정 메커니즘_64

그림 목차
[그림 1] 2021~2022년의 기후재원의 흐름_21
[그림 2] 2019~2022년의 부문별 전 세계 기후재원의 흐름_23
[그림 3] 2050년까지 필요한 기후재원의 예상 규모_24
[그림 4] BAU 시나리오와 기후재원을 통한 1.5°C 목표 달성의 경제적 효과 비교_24
[그림 5] 전 세계 적응재원의 흐름과 수요_25
[그림 6] 2019년 이후 적응재원의 예상 변화 추이_27
[그림 7] 공공재원과 민간재원의 2021~2022년 연간 평균 비교_30
[그림 8] 선진국이 기여한 지역 및 부문별 공공 및 민간 기후재원(2022년 기준)_31
[그림 9] 에너지, 산업, AFOLU(농업, 임업, 기타 토지 이용), 그 외 분야에서의 완화재원의 잠재력과 실제 흐름_33
[그림 10] 주요 부문별 적응재원_34
[그림 11] 2021~2022의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동원된 공공 기후재원과 민간 기후재원(주제, 출처 및 금융 상품별)_36
[그림 12] 공편익과 적응재원의 변화_37
[그림 13] 공편익으로 활용되는 기후재원의 흐름_38
[그림 14] 기후재원 활용 부문별 재원 조성 비교_39
[그림 15] 2022년 지역별 최빈개도국(LDCs)을 제외한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(EMDEs)의 국내 및 국제 기후재원_42
[그림 16] 2018~2022년 동안 남-남 협력을 통해 제공된 총 기후재원_44
[그림 17-1] 기후재원의 구조 중 UNFCCC 내·외 재정 메커니즘_53
[그림 17-2] 기후재원의 전체 구조_63
[그림 18] 광범위한 금융 흐름, 기회 및 비용의 관점에서 본 전 세계 기후재원_70
[그림 19] 2015~2022년 동안 누적된 녹색(친환경) 금융 정책 및 규제 조치의 성장률과 민간 금융 이니셔티브에서의 지역별, 국가별 비중(2024년 2월 기준)_72